
오랜만에 글을 쓰려니 긴장이 되긴 합니다. 돌아온 주제는 의약품에 주로 쓰이는 부형제 중 하나인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에 대해서 전달드리고자 합니다. 일명 스마그라고도 불리는 이 부형제는 주로 고형제에 사용되며, 정제, 캡슐제, 과립제에 활택제 (Lubricant)로써 사용되는 중요한 성분 중 하나입니다. 1.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의 구조(Structure)스테아르산마그네슘은 스테아르산에 마그네슘이 붙어있는 구조입니다. 다만,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은 식물성이냐, 동물성이냐의 차이가 있어 사용시에 해당내용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2.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의 Chemical Name/분자량/CAS No./Pharmacopoeia 등재여부/비교표(1) Chemical name : 스테아르산마그네슘(Ma..

이번 글은 항상 고형제 위주로 부형제를 소개해왔기에 다른 제형의 부형제도 알려드릴겸 화장품, 외용제, 헬스케어 제품들에 주로 사용되는 점증제 중 하나인 세탄올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고형알코올이라고도 불리며, 점도를 높여 피부에서 잘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합니다. 피부에 바를 때 물처럼 흘러내리면 사용편의성이 저하되기에 점증제를 사용하게 됩니다. 점증제 사용 시 발림성이나 점착성을 증가시켜 사용 편의성이나 호감도를 증가시켜 줍니다. 1. 세틸알코올 (Cetanol, Cetyl alcohol)의 구조 (Structure) 탄소를 많이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세틸알코올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이 대표적인 고형알콜류이며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스테아릴알코올 혼합)도 있습니..

이번 주제도 의약품에 주로 쓰이는 부형제중 하나인 만니톨에 대해서 전달드리고자 합니다. 만니톨은 주로 고형제에 사용되며, 정제, 캡슐제, 과립제에 부형제 (excipients or ingredients or dilluent or filler(처음 접하시는 용어겠지만 충전제로써 필러라는 용어도 자주 사용합니다))로써 사용되며, 펠렛 등을 만들때 중심점으로도 사용되곤 합니다. 1. 만니톨의 구조 (Structure) 만니톨은 소르비톨 (Sorbitol)의 이성질체입니다. 구조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닮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분자량도 동일합니다. 만니톨과 소르비톨은 쓰임새가 비슷하면서도 조금 다른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나 소르비톨은 안정화제나 보습제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2. 만니톨의 Chemical Nam..

이번 주제는 앞서 말씀드린 미결정셀룰로오스와 더불어 가장 흔하게 내용 고형제인 정제, 캡슐제, 과립 등에 사용되고 있는 유당 (Lactose)입니다. 유당은 무수물과 수화물로 나뉘며, 입자크기에 따른 grade가 달라집니다. 유당도 미결정셀룰로오스와 마찬가지로 부형제라 불리며, diluent 혹은 ingredient, excipient로 표시합니다. 1. 유당의 구조 (Structure) 유당은 무수유당과 유당수화물, 그리고 유당 SD (Spray dryied)로 나뉘는데 유당SD는 스프레이드라이 (Spray dry)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앞서 말한 무수유당, 유당수화물과 구조적으로는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 (1) 무수유당 (Lactose anhydrous)과 유당수화물(Lactose monohy..